논문투고 - > 논문원고작성규정
연혁
2020.07.20
제정
1. 일반사항

1.1 원고의 내용
자연치유에 관한 독창적 내용으로서 연구논문(학술, 실험)으로 하며, 본 학회 논문집규정의 논문의 구성내용을 따른다.

1.2 원고의 구성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함을 표준으로 한다.
  • ① 제목 : 국문, 영문(국문, 영문제목 순으로 병행 표기)
  • ② 성명 : 국문, 영문(국문, 영문 병행표기), 소속은 성명 우측에 윗첨자(*)로 하고, 첫 쪽 왼쪽 하단에 각주로 기입한다. 모든 저자는 소속과 직급을 반드시 기입해야한다. 교신저자의 경우 좌측하단 주기부분에 소속과 이메일 주소를 영문으로 기입한다. 단, 교신저자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저자를 교신저자로 간주한다.
예) 중부대학교 자연치유학과 교수, 자연치유학 박사(Corresponding author : Department of Naturopathy, Joobungbu University, aaa@joongbu.ac.kr)
  • ③ 영문요약(Abstract) : 1200자 내외로 작성하되 15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원어민 체크를 원칙으로 한다.
  • ④ 키워드 : 국문, 영문
  • ⑤ 본문(서론, 본론, 결론, 인용 및 참고문헌) : 본론 내용 구분은 그 내용에 상응하게 장으로 구분한다.
  • ⑥ 사사 및 기타 표기 : 연구지원기관, 학술대회 발표논문, 학위논문 등의 사항에 대해 기재한다.

1.3 원고의 작성
  • ① 논문은 컴퓨터로 작성하되 한글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부득이한 경우 MS-Word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 ② 원고는 키워드까지는 1단으로, 본문부터는 2단으로 편집한다. 단 간격을 10mm, 구분선은 '투명'으로 처리한다.

1.4 원고의 분량
국문논문은 8쪽을 기본으로 하고, 12쪽 이상은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12쪽을 초과할 경우 그에 대한 사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편집위원회에서 그 논문의 게재여부를 결정한다.

1.5 본문의 장, 절, 항, 목
  • (1) 본문의 장, 절, 항, 목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① 장 : 1
② 절 :    (3칸 들여쓰기) 1.1
③ 항 :    (3칸 들여쓰기) 1)
④ 목 :    (3칸 들여쓰기) ①
  • (2) 장 타이틀은 위, 아래 각각 1행씩을 비우고, 절 타이틀은 위만 1행을 띠고, 항 타이틀은 행을 비우지 않는다.

2. 문단의 구성
(1) 본문문단의 구성​​
용지설정문단구성
용지크기A4(210x297)단수2
용지방향보통1단폭85mm
여백주기위쪽18단간격8mm
아래쪽14단구분선없음
왼쪽161단길이245
오른쪽16들여쓰기10
머리말8정렬방식혼합
꼬리말12문단간격0
제본0낱말간0

(2) 본문작성 세부규정​
항 목글 꼴크 기줄간격정 렬
국문제목신명조(진하게)16150가운데
국문소제목신명조13150가운데
영문제목Times13150가운데
영문소제목Times11150가운데
성명(국문)신명조10150오른쪽
성명(영문)Times10150오른쪽
Abstract 제목Times10150오른쪽
Abstract 본문
Times9150가운데
국문키워드신명조9150양쪽혼합
영문키워드Times9150양쪽혼합
저자소속신명조8150양쪽혼합
사사표기신명조8150양쪽혼합
본문 장/절 제목신명조(진하게)9150양쪽혼합
본문 내용신명조9150양쪽혼합
표 제목Times8150가운데
표 내용신명조8150가운데, 양쪽 혼합
그림 제목Times8150가운데
참고문헌 제목신명조(진하게)9150가운데
참고문헌 본문신명조8150양쪽 혼합
각주신명조8150양쪽 혼합

(3) 그 외 작성규정
이상의 규정 이외의 논문작성에서 발생하는 개별 사례는 원고 템플릿을 참고하고, 논문편집위원회의 권고를 따라야 한다.

3. 사용어 및 표기

3.1 사용어
  • (1) 사용어는 국어로 하며, 그림, 사진, 표의 제목은 영어로 표기한다. 참고로, 논문을 영어로 작성할 경우에는 영문원고 작성규정을 따른다.
  • (2) 국어는 한글과 한자를 혼용할 수 있다.
  • (3) 한글의 맞춤법은 한글학회의 「한글맞춤법」(1989) 및 「표준어규정」(1909)에 따른다.

3.2 외래어 표기
  • (1) 외래어는 한글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한글로 표시하기 난해한 외래어는 원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2) 외래어의 표기는 문교부 외래어표기법(1986) 및 외래어표기용례집(1986)에 따른다.
  • (3) 문헌명과 약어는 가능하면 원어 그대로 쓴다.
  • (4) 본문 중의 로마자를 사용하는 외래어의 표기는 모두 소문자로 한다. 단 다음의 경우는 예외로 한다.
           ① 고유명사의 첫 자
           ② 대문자를 쓰는 약어
           ③ 문교부 과학 기술 용어
  • (5) 그림, 사진, 표의 내용 및 설명에서 로마자표기로 의미전달이 곤란한 한글용어는 로마자로 표기 후 괄호 안에 한글을 추가할 수 있다.

4. 숫자 및 기호

4.1 숫자 및 수식
  • (1) 숫자
           ① 수량을 표시할 때에는 아라비아 숫자로 쓴다.
           ② 1 이상의 소수는 소수점 앞에 반드시 0을 쓴다.
           ③ 분수는 으로 표시하지 않고 1/3으로 쓴다.
           ④ 네 자리 이상의 수는 세 자리마다 자리표시(콤마)를 한다. 단, 네 자리의 수는 이에 따르지 아니하여도 좋다.
  • (2) 수식
           ① 수식은 줄(행)을 바꾸어 1행으로 씀을 원칙으로 한다.
           ② 수식이 2행 이상에 걸칠 때에는 "-" 기호부터 줄을 바꾸되 그 위치를 통일한다. 단, 이에 따를 수 없을 때에는
                "+" "-" "×" 또는 "÷" 기호부터 줄을 바꾼다.
           ③ 수식의 첨자는 식별가능한 크기로 한다.
           ④ 수식 오른쪽에 (1), (2), (3) 등의 일련번호를 넣는다.

4.2 단위 및 기호
  • (1) 단위
           ① 모든 단위는 SI unit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단, 필요한 경우에는 SI unit 이외의 단위를 병기할 수 있다.
           ② 전항 이외의 필요한 관용단위에 대하여는 그대로 쓰되 괄호 안에 표기한다.
            예) 페인트 1통(20ℓ) 시멘트 1포대(40㎏)
  • (2) 기호
        단위기호 및 양(量)기호에 대하여는 한국산업규격의 단위기호, 양기호에 따름을 원칙으로 한다.

5. 그림 및 사진·표

5.1 그림 및 사진
  • (1) 그림은 전산출력물을 사용하며, 그림에 기입할 문자도 또한 전산출력 문자를 사용한다. 사진은 원화 중 선명한 것을 사용한다.
  • (2) 그림 및 사진 번호와 설명
          ① 그림 및 사진의 일련번호는 [그림 1]로 기술한다. 일련번호와 함께 그림  및 사진 아래 가운데 정렬한다.
 

 
                                                                                                                  [그림 1] Natural healing
 

          ② 그림 및 사진의 여러 장이 한 묶음이 될 경우, 각각에 해당하는 a), b), c) 등의 기호를 넣고 제목을 영어로 작성                   하며,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작성한다. 단, a), b), c) 등의 내용에 따라 한글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의 일련번호(예, Fig. 2)는 반드시 영어로 작성해야 한다. 
 


 


                                                                                                                  
                                                                                         a) Healing                                    b) Healing 2   
                                                                              [그림 2] Naturopath


5.2 표
  • (1) 모든 표의 제목은 < 표  1 >로 작성하고, 일련번호와 함께 표 좌측에 정렬한다.
  • (2) 표 끝에 각주(footnote)를 달 때는 표 내용 중 설명하려는 단어 또는 문장 끝에 1), 2), 3) 표를 붙이고 표 하단에 설명한다.
  • (3) 표의 모양은 윗선과 아랫선은 진하게 나머지 선은 보통선, 왼쪽과 오른쪽 선은 없애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표 1 > Natural healing therapy results
  표.jpg

                                        1) ~설명1
                                        2) ~설명2


5.3 그림 및 사진, 표의 본문 기재 방법
본문에 [그림 1], [사진 1], < 표 1 >를 사용한다.

6. 주기방법
  • (1) 모든 주기는 내주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 (2) 각주 주기가 필요시 주기 표시할 경우  윗부분의 구분선 길이는 한글프로그램의 각주모양에서 5㎝로 한다.
  • (3) 주기가 필요한 부분에는 그 부분 최종글자 우상부에 주기의 일련번호를 반괄호 속에 넣어 기재하고, 그 쪽의 하부에 그 주기의 번호 및 설명을 넣는다.
        예) …… 자연치유의  구분은2) ……
7. 인용문헌의 주기 방법
  • (1) 본문 중 인용문이 있을 때에는 이를 인용부호(“ ”)로 표시하고 그 출전을 밝히되 일반주기와 마찬가지로 주기한다.
  • (2) 주기에 있어서 인용문헌의 표기는 다음 항목과 순서로 함을 표준으로 한다.
          ① 2명의 저자: 영문 참고문헌이면 “ 과/와 ”로 연결하고, 괄호 속에서는 & 를 사용한다. 국문 참고 문헌 이면 저자명 사이를 쉼표로 표시한다. 괄호 자체는 이름(명사) 과 조사 사이에 붙여쓴다. 
Gardner Lambert(1976) 와 의 연구는 과거의 연구(Lambert & Gardner, 1972)보다 ….는 학습 태도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라고 보았다(Gardner & Lambert, 1972). 김철수, 이영희(1994)는  협동학습이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 협동학습을 할 때도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김철수, 이영희, 1994).

          ② 3인이상:처음부터 영어 자료는 “et al.”  로 국어 자료는 "등" 혹은 “ 외로 표기하고, 논문 뒤의 참고 문헌 목록에는 이름을 모두 표기한다. (et al.은 et alii (and others) 라틴어 의 약어이므로  al.에만 점을 사용하고 이탤릭체를  쓰지 않는다.) 
한글논문: 김진철 외(1998)의 ... (처음부터 인용시) …. 결론지을 수 있다(양정환 외, 2009). (처음부터 인용 시)
영어논문: Buckby et al. (1981) stated that (처음부터 인용 시) ... texts to writing compositions (McCombs et al., 2008). (처음부터 인용 시)
         
         ③ 여러 저작을 괄호 안에 소개: 여러 저자의 저작을 소개할 경우 한글 , 저자명은 가나다순으로 영어 , 저 자명은 알파벳 순으로 배열하고 한글논문의 , 경우 한글저자와 영어저자를 함께 인용할 경우 한글 저자 부터 가나다순으로 나열한다. 또한 세미콜론 (;) 으로 분리한다.  동일 저자의 것은 연대순으로 배열하고, 쉼표로 분리한다. 
Oxford (1986, 1989, 1994)는 전략 훈련에 대한 연구(Gosden, 1992; Hanania & Akhtar, 1985; Hopkins, 1987, 1988a, 1989; Tarone et al., 1981)들이 … ​
  • * 본문 인용방법과  APA 7판 형식에 의한 내주 인용방법으로 한다.

8. 참고문헌의 기재방법
  • (1) 모든 참고문헌은 내주 또는 각주에 인용된 것만 기재한다.
  • (2) 본문 뒤에 1. 2. 3. 등의 일련번호를 넣어 일괄 기재하며, 구체적으로 다음 순서로 기재한다.
           ① 국내 오프라인 출판문헌(한글) : 저자의 가나다순으로 기재한다. 단, 동일저자에 의한 문헌의 경우, 빠른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② 국외 오프라인 출판문헌(외국어) : 저자의 알파벳순으로 기재한다. 단, 동일저자에 의한 문헌의 경우, 빠른 연               
              도 순으로 기재한다. 만약 언어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영문 문헌을 먼저 기재하며, 그 외의 언어로 된 문헌은 저자의 
              판단에  따라 순서를 정하여 기재한다.
               국내 온라인자료 : 도메인명의 가나다순으로 기재한다.
               국외 온라인자료 : 도메인명의 알파벳순으로 기재한다.
  • (3) 국내외 오프라인 출판문헌은 위의 7장 [인용문헌의 주기방법]을 따르되 인용쪽은 생략한다.
  • (4) 국내외 온라인자료는 도메인명과 URL주소를 기재한다. 단, 출처의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각주에 기재된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 *모든 참고문헌의 방식은 APA 7 판 형식을 따른다.

  • 권오길. 이재규. (2019). 노인요양시설의 치유정원 분석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4(3). 265-278.

  • 김용우. (2003). 국내 종합병원 병동부 다인병실의 치유환경 개선을 위한 건축 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Harris, L. (2014). Instructional leadership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leader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 Grady, J. S.(2019). Emotions in storybooks: A comparison of storybooks that represent ethnic and racial groups in the United States. Psychology of Popular Media Culture, 8(3), 207–217. https://doi.org/10.1037/ppm0000185.

9. 사사 및 기타 표기사항
  • (1) 사사표기 : 일정 기관으로부터 지원받은 사항에 대한 내용은 제출자 소속이 들어가는 부분 바로 밑(첫쪽의 각주       부분)에 기재한다.
        예) 이 논문은 ○○○의 연구비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 (2) 학술발표대회 등의 발표논문은 아래의 예와 같이 기입한다.
        예) 이 논문은 ○○년도 ○○학회의 학술발표대회에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한 연구임.
  • (3) 박사학위 논문인 경우 아래의 예와 같이 기입한다
         예) 이 논문은 OOO의 박사학위 논문(대학명, 연도)의 일부를 토대로 수정·보완한 연구임.
10. 논문작성을 위한 추가 안내사항
  • (1) Table, Fig., 캡션, 참고문헌 등에서 한자표기가 불가피한 경우(예, 성명, 건물명, 지명, 문헌명 등)에는 로마자 표기의 괄호 안에 한자표기를 병기할 수 있다. (예) Bongeopsa(奉業寺)
  • (2) 영문초록, Table, Fig., 캡션, 참고문헌 등에서 고유명사(예, 성명, 건물명, 지명, 문헌명 등)의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이탤릭체로 표기할 수 있다. (예) SaethuMaul project